국내 ETF 추천,종류,수익추구형,안정적인상품 비교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많은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이에 따라 국내 ETF 시장에서 안정적이면서도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상품을 탐색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ETF를 비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상품을 추천해보겠습니다

ETF란 무엇일까요?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펀드라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 펀드처럼 투자하면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ETF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수 추종: ETF는 특정 지수(예: KOSPI 지수, S&P 500 지수 등)를 추종하도록 구성됩니다. 즉, ETF 1주를 매수하면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을 조금씩 매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분산 투자: ETF는 여러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종목에 대한 위험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 저렴한 수수료: ETF는 일반적인 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저렴한 편입니다.
  • 편리한 거래: ETF는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매매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와 매도가 매우 편리합니다.

ETF의 종류

ETF는 추종하는 지수, 투자하는 자산, 투자 전략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뉩니다.

  • 지수 ETF: KOSPI 지수, S&P 500 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상품 ETF: 금, 원유 등 특정 상품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 채권 ETF: 국고채, 회사채 등 특정 채권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 레버리지 ETF: 기초 지수 또는 자산의 수익률을 증폭시키도록 설계된 ETF입니다.
  • 인버스 ETF: 기초 지수 또는 자산의 수익률을 반대로 돌리도록 설계된 ETF입니다.

ETF 투자 방법

ETF 투자는 증권사 또는 온라인 투자 사이트를 통해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투자 목표 및 위험 감수 수준 설정: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수준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2. 적합한 ETF 선택: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수준에 맞는 ETF를 선택해야 합니다.
  3. 투자 금액 결정: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을 결정해야 합니다.
  4. 매수 및 매도: 증권사 또는 온라인 투자 사이트를 통해 ETF를 매수 및 매도할 수 있습니다.

ETF 투자 시 주의 사항

  • 투자 위험: ETF 투자에도 투자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 수수료: ETF는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 변동성: ETF는 변동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 투자 기간: ETF는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국내 ETF 종류


1. 시장지수형 ETF

  • 특정 시장 지수(예: 코스피200, 코스피100, KRX100)의 구성 종목을 비율대로 보유하여 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 국내 시장 지수형 ETF는 가장 대표적인 ETF 유형이며, 다양한 지수를 기반으로 상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2. 스타일형 ETF

  • 성장, 가치, 배당 등 특정 투자 스타일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 시장 전체보다는 특정 투자 스타일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합니다.

3. 섹터형 ETF

  • 금융, IT, 전기통신 등 특정 산업 분야의 종목을 집중 투자하는 ETF입니다.
  • 특정 산업 분야에 대한 전망이 좋은 투자자들에게 적합합니다.

4. 테마형 ETF

  • 친환경, 인공지능, 의료 등 특정 투자 테마를 기반으로 종목을 선정하는 ETF입니다.
  • 최근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특정 투자 테마에 집중 투자할 수 있습니다.

5. 파생상품형 ETF

  • 주식 지수, 원자재 가격 등 금융 파생상품을 기반자산으로 하는 ETF입니다.
  • 포트폴리오의 헤지 목적으로 활용하거나, 특정 자산의 가격 변동에 대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6. 해외 자산형 ETF

  • 미국, 일본, 유럽 등 해외 시장의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 국내 시장에 대한 투자 위험을 분산하고, 해외 시장의 성장 기회를 누리기 위한 투자 전략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7. 레버리지/인버스형 ETF

  • 기초 자산의 수익률을 증폭하거나 반대로 변화시키는 ETF입니다.
  •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수립하거나, 포트폴리오의 헤지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레버리지/인버스형 ETF는 일반 ETF보다 위험성이 높으므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8. 상품형 ETF

  • 금, 석유 등 특정 상품의 가격 변동에 대한 투자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ETF입니다.
  • 포트폴리오의 헤지 목적으로 활용하거나, 특정 상품의 가격 변동에 대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9. 기타 ETF

  • 부동산, 부동산투자신탁(REITs), 인프라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ETF들이 있습니다.
  • 이러한 ETF들은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ETF 선택 시 고려 사항

  • 투자 목표 및 기간
  • 투자 성향 및 위험 감수 능력
  • ETF의 운용 비용
  • ETF의 유동성
  • ETF의 기초 자산 및 투자 전략

국내 시장 지수형 ETF 추천


1. KOSPI 지수형 ETF

  • 코스피200 지수(KS200): 한국거래소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200개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한국 전체 주식 시장의 대표적인 지표로 여겨집니다.
  • 추천 ETF:
    • 현대자산운용 코스피200 선물인버스ETF (150210)
    • KBSTAR 코스피200 ETF (150200)
    • 삼성자산운용 코스피200 ETF (150190)

2. 코스피 지수형 ETF

  • 코스피 지수(KOSPI): 한국거래소 상장된 모든 주식을 포함하는 지수입니다. KOSPI200 지수보다 시장 변동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추천 ETF:
    • KBSTAR 코스피 ETF (250100)
    • 삼성자산운용 코스피 ETF (250090)
    • 현대자산운용 코스피 ETF (250080)

3. 코스닥 지수형 ETF

  • 코스닥 지수(KOSDAQ): 코스피 상장 기업을 제외한 성장성 있는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추천 ETF:
    • KBSTAR 코스닥 ETF (290100)
    • 삼성자산운용 코스닥 ETF (290090)
    • 현대자산운용 코스닥 ETF (290080)

4. 테마형 ETF

  • 특정 산업이나 주제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개별 종목에 대한 투자보다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정 산업이나 주제에 대한 전망이 좋은 경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추천 ETF:
    • KBSTAR 반도체 ETF (302500)
    • 삼성자산운용 바이오 ETF (302400)
    • 현대자산운용 전기차 ETF (302300)

5. 해외 시장 지수형 ETF

  • 해외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한국 주식 시장과 상관관계가 낮아 포트폴리오의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추천 ETF:
    • KBSTAR S&P500 ETF (160010)
    • 삼성자산운용 나스닥100 ETF (160000)
    • 현대자산운용 미국 ETF (160090)

ETF 투자 시 고려 사항

  • 투자 목표 및 기간: 투자 목표와 기간에 따라 적합한 ETF을 선택해야 합니다. 단기간 투자의 경우, 변동성이 낮은 ETF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간 투자의 경우, 변동성이 높은 ETF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위험 감수 성향: 투자자의 위험 감수 성향에 따라 적합한 ETF을 선택해야 합니다. 위험 감수 성향이 낮은 투자자는 변동성이 낮은 ETF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험 감수 성향이 높은 투자자는 변동성이 높은 ETF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수수료: ETF는 운용 회사에서 수수료를 받습니다. 수수료가 낮은 ETF를 선택하는 것이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국내 스타일형 ETF 추천


가치주 스타일 ETF

  • KODEX 가치주 ETF (2030): 시가총액 대비 부채비율, PBR, 배당수익률 등을 기준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 KB 가치주 ETF (150): PBR, PER, 배당수익률 등을 기준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 NH 가치주 ETF (100): 시가총액 대비 부채비율, PBR, 배당수익률 등을 기준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성장주 스타일 ETF

  • KODEX 성장주 ETF (200): 매출성장률, 영업이익 성장률, ROE 등을 기준으로 높은 성장 가능성이 있는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 KB 성장주 ETF (50): 매출성장률, 영업이익 성장률, ROE 등을 기준으로 높은 성장 가능성이 있는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 NH 성장주 ETF (30): 매출성장률, 영업이익 성장률, ROE 등을 기준으로 높은 성장 가능성이 있는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모멘텀 스타일 ETF

  • KODEX 모멘텀 ETF (100): 최근 주가 상승률, 거래량 등을 기준으로 모멘텀이 강한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 KB 모멘텀 ETF (50): 최근 주가 상승률, 거래량 등을 기준으로 모멘텀이 강한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 NH 모멘텀 ETF (30): 최근 주가 상승률, 거래량 등을 기준으로 모멘텀이 강한 주식을 선별하여 구성

국내 섹터형 ETF 추천


현재 국내에는 약 30개의 섹터형 ETF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투자자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따라 적합한 섹터형 ETF은 달라질 수 있지만, 최근 시장 상황과 전문가들의 예상을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섹터형 ETF들이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 반도체 ETF: 반도체는 세계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국내는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반도체 ETF는 국내 경제 성장과 연동성이 높은 투자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요 반도체 ETF로는 KODEX 반도체 지수 ETF(233770), 삼성전자 지수 ETF(233760), SK하이닉스 지수 ETF(233750) 등이 있습니다.
  • 의료 바이오 ETF: 의료 바이오 산업은 인구 고령화와 생명공학 기술 발전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입니다. 국내 의료 바이오 산업은 해외에 비해 저평가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요 의료 바이오 ETF로는 KODEX 바이오 지수 ETF(233820), ETN 한국바이오(159930) 등이 있습니다.
  • 전기차 ETF: 전기차는 미래 자동차 산업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으며, 관련 산업 또한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는 전기차 배터리와 전기차 모터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전기차 ETF는 미래 성장 기대가 높은 투자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요 전기차 ETF로는 KODEX 전기차 지수 ETF(233870), ETN 한국차세대산업(159940) 등이 있습니다.
  • ESG ETF: ESG 투자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고려하는 투자이며, 최근 사회적 책임 투자(SRI)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투자 트렌드입니다. 국내 기업들도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ESG ETF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투자 상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요 ESG ETF로는 KODEX ESG 지수 ETF(233920), ETN 한국지속가능성(159950) 등이 있습니다.

국내 파생상품형 ETF 추천


국내 파생상품형 ETF는 크게 레버리지 ETF, 인버스 ETF, 레버리지 인버스 ETF로 분류됩니다.

레버리지 ETF

레버리지 ETF는 기초지수의 변동률을 일정 배수 확대하여 투자수익률을 증폭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KOSPI 200 지수의 변동률을 2배 확대하는 2배 레버리지 KOSPI 200 ETF는 KOSPI 200 지수가 1% 상승하면 ETF 가격은 2% 상승하고, KOSPI 200 지수가 1% 하락하면 ETF 가격은 2% 하락하게 됩니다.

국내 주요 레버리지 인버스 ETF

1. KOSPI200

  • KB증권 2배 레버리지 코스피200 ETF
    • 운용회사: KB증권
    • 기초지수: KOSPI200 지수
    • 레버리지: 2배
    • 수수료: 0.19%
  • 삼성증권 3배 레버리지 코스피200 ETF
    • 운용회사: 삼성증권
    • 기초지수: KOSPI200 지수
    • 레버리지: 3배
    • 수수료: 0.19%
  • 미래에셋증권 2배 레버리지 코스피200 ETF
    • 운용회사: 미래에셋증권
    • 기초지수: KOSPI200 지수
    • 레버리지: 2배
    • 수수료: 0.19%

2. 해외 주식

  • NH-Amundi S&P 500 2X 레버리지 ETF
    • 운용회사: NH-Amundi자산운용
    • 기초지수: S&P 500 지수
    • 레버리지: 2배
    • 수수료: 0.35%
  • KB증권 나스닥100 3X 레버리지 ETF
    • 운용회사: KB증권
    • 기초지수: 나스닥100 지수
    • 레버리지: 3배
    • 수수료: 0.35%
  • 삼성증권 중국 CSI300 2X 레버리지 ETF
    • 운용회사: 삼성증권
    • 기초지수: CSI300 지수
    • 레버리지: 2배
    • 수수료: 0.35%

주의 사항

  • 레버리지 인버스 ETF는 단기 투자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상품이며, 투자 손실 위험이 높습니다.
  • 투자하기 전에 상품설명서를 반드시 확인하고, 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는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Leave a Comment